new Date().getTime(),event:'gtm.js'});var f=d.getElementsByTagName(s)[0], j=d.createElement(s),dl=l!='dataLayer'?'&l='+l:'';j.async=true;j.src= 'https://www.googletagmanager.com/gtm.js?id='+i+dl;f.parentNode.insertBefore(j,f); })(window,document,'script','dataLayer','GTM-5ZMD4VM'); 브랜드로 남는다는 것_홍성태 교수의 특별한 경영수업
본문 바로가기
Digital Advertising/Book Review

브랜드로 남는다는 것_홍성태 교수의 특별한 경영수업

by a_mine 2024. 2. 14.

 

이름에 의미를 더하기 위한 '고객지향성'

"우리 사업을 어떻게 고객 관점에서 볼까?" 우리가 사업을 고객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고정된 시각에서 벗어나면, 고객의 소비 행태의 진정한 동기나 변화하는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고정된 시각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순진한 왜?'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깊이 고민해보는 것. 고정된 시각과 절대적으로 반대되는 것을 찾는 것이 아니라, 사업의 본질을 향해 올바른 방향을 찾아야 합니다.

"____은 ____가 아닙니다. ___입니다."
이와 같은 접근을 통해 고객의 시선에서 우리 사업의 방향성과 컨셉을 찾을 수 있고, 이를 담은 슬로건 또한 도출될 수 있을 것입니다.


“브랜드의 컨셉을 어떻게 고객 마음에 심을까?”

고객들이 어릴 적 친구의 별명을 듣는 것처럼, 브랜드의 별칭과 이미지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브랜드는 먼저 컨셉을 정의하고, 그것을 생동감 있는 표현으로 카피 내지 슬로건으로 만들어냅니다.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브랜드의 핵심 메시지와 가치를 전달하고, 브랜드를 기억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창의력은 응축에서 나오고, 응축은 집요함에서 나온다”

날카롭게 응축된 인사이트를 갖기 위해서는 집요한 분석과 고민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성공한 레퍼런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레퍼런스의 뿌리를 조사하고 이해하여, 핵심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도 창의적인 컨셉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를 찾고 분석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지만, 끊임없이 논의하고 훈련한다면 우리도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이러한 훈련을 시작하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