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력은 응축에서 나오고, 응축은 집요함에서 나온다”
SK 최종현 전 회장은 캔 미팅(Can Meeting)을 통해 문제 해결안을 도출하는 데 주력했다. 이는 단절된 환경에서 며칠 동안 의견을 나누다 보면 예상치 못한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이 과정에서 ZERO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말한다.
레퍼런스를 활용할 때는 먼저 그 뿌리를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레퍼런스의 핵심 인사이트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컨셉을 기획할 수 있다. '아이맥'의 화려한 반투명 디자인은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는 스티브 잡스가 어수선한 사무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제품을 디자인한 결과이다. 따라서 레퍼런스를 활용하지 않고 그 디자인만 따라하는 기업들은 진정한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창의적인 브랜드 컨셉을 위한 레퍼런스 활용
(개인적인 의견까지 적용된 내용입니다)
✅ 내용 정리
창의적인 브랜드 컨셉은 날카로운 인사이트와 깊이 있는 분석에서 시작된다
성공한 레퍼런스를 참고하여 핵심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컨셉을 기획,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키우고, 시대에 맞는 브랜드 컨셉을 개발해야 한다.
1. 창의력의 원천: 응축과 집요함
“창의력은 응축에서 나오고, 응축은 집요함에서 나온다.”라는 말처럼,
탁월한 브랜드 컨셉은 날카로운 인사이트와 끊임없는 노력의 결실
성공한 레퍼런스를 참고하는 것은 창의적인 컨셉을 만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단순히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깊이 있는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핵심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레퍼런스 분석을 통한 핵심 인사이트 도출
레퍼런스 선정 : 타겟 고객층, 브랜드 가치,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레퍼런스를 선정. 다양한 분야의 레퍼런스를 접하면서 폭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심층 분석 : 레퍼런스의 핵심 메시지, 시각적 요소, 고객 반응 등을 면밀히 분석 후 레퍼런스가 성공한 이유와 실패한 이유를 파악하여 자신의 브랜드에 적용 가능한 부분을 찾아낸다
핵심 인사이트 도출 : 레퍼런스의 표면적인 요소를 넘어 깊은 의미와 가치를 파악 후 레퍼런스가 전달하는 핵심 메시지와 고객에게 어떤 감동을 주는지 분석한다.
3. 창의적인 컨셉 기획
차별화된 해석 : 핵심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해석을 더하고,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되는 컨셉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구체화 및 적용 : 컨셉을 명확하고 구체적인 방식으로 표현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각적 요소, 마케팅 전략 등에 컨셉을 적용한다.
4. 지속적인 훈련
끊임없는 레퍼런스 발굴 :
다양한 분야에서 영감을 얻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새로운 레퍼런스를 찾고, 트렌드와 고객 니즈를 파악하여 시대에 맞는 컨셉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팀원들과 함께 레퍼런스를 분석하고 토론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다양한 관점을 통해 컨셉을 발전시키고 완성도를 높인다. 이후 레퍼런스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생각하고 창조하는 능력을 키우며,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전략을 통해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Digital Advertising >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책] 브랜드로 남는다는 것_홍성태 교수의 특별한 경영수업_6 목표와 비전중심 경영방법 (0) | 2024.03.21 |
---|---|
[마케팅 책] 브랜드로 남는다는 것_홍성태 교수의 특별한 경영수업_5 구성원들의 마음을 하나로 뭉칠 '존 F 케네디 달 탐사' 사례 (0) | 2024.03.20 |
[마케팅 책] 브랜드로 남는다는 것_홍성태 교수의 특별한 경영수업_4 브랜드 확장과 마케팅 포트폴리오 (0) | 2024.03.19 |
[마케팅 책] 브랜드로 남는다는 것_홍성태 교수의 특별한 경영수업_3 브랜드 컨셉을 유지하는 볼보(VOLVO) 마케팅 사례 (0) | 2024.03.18 |
브랜드로 남는다는 것_홍성태 교수의 특별한 경영수업 (0) | 2024.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