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gital Advertising43

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란? - 마케팅 사례와 함께 알아보는 심리학 용어 단순노출효과는 무엇일까?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는 반복적인 노출이 소비자에게 친숙함을 형성하고 호감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심리학 용어로, 마케팅 분야에서 다양한 사례들이 있을만큼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전략이다. 마케팅을 하다보면 '노출'이라는 데이터를 자주 확인하게된다. 노출은 캠페인의 광고가 보여진 횟수 혹은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횟수로[노출 : Impression - imps] 이라고 표현한다. 이 때 말하는 노출(Impression)은 흔히 말하는 첫인상에서 '인상'을 의미한다.하지만 단순노출효과에서 말하는 노출은 [노출 : Exposure]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에서 사용되는 '드러나있다'를 의미하고 있다.먼저 유저에게 송출되어 인상을 남기는 노출이 아닌 항상 .. 2025. 4. 4.
1차 가격 경매(1st Price Auction) vs 2차 가격 경매(2nd Price Auction): 차이점 완벽 정리 1차 가격 경매 vs 2차 가격 경매: 차이점 완벽 정리2019년, 구글은 Google Ad Manager(GAM)를 통한 디스플레이 및 동영상 광고 인벤토리에 대한 2차 가격 경매에서 1차 가격 경매로의 전환을 완료했다.이 변화의 주요 원인은 광고 기술 시장에서의 불공정한 구매자 전략과 경매 구조의 복잡성이 증가했기 때문. 특히 헤더 비딩(Header Bidding)의 활성화로 인해 2차 가격 경매 모델에서 최적의 성과를 내기 어려워졌으며, 이러한 이유로 1차 가격 경매로의 전환이 필요했다.그렇다면 1차 가격 경매와 2차 가격 경매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 정리해보겠다.1차 가격 경매란?1차 가격 경매(First-Price Auction)는 입찰자들이 동시에 경쟁하며, 최고 입찰자.. 2025. 3. 13.
[메타/META] 2025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광고 경매방식 정리 - 퍼포먼스 마케팅, 그로스해킹 Meta(Facebook & instagram) Ads Auction  작동 원리 요약해보겠음글의 출처는 https://www.linkedin.com/pulse/facebook-meta-ads-auction-how-works-sarfraz-razzaq를 참고하여 작성이 글은 2024년 8월에 발행되었지만 2025년에 조금 더 내용을 업데이트 1.  META 광고 경매 개요메타(META)를 포함 다양한 매체들은 광고를 노출하기 위해 경매 시스템을 사용한다.하지만 일반적인 경매와 달리 최고 입찰가만 선정되는 구조가 아닌광고를 보는 유저에게 가장 관련성이 높은 광고를 제공하면서도, 광고가 투자 대비 최상의 가치를 얻도록 설계됨 ☺️ 솔직히 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간단히 말하면유저에게 신고 덜받는 광고들 중 .. 2025. 3. 6.
카카오모먼트, 2025년 3월 24일부터 1차 가격 경매 방식(First Price Auction) 도입 - 입찰가 낮춰야할까? 카카오모먼트는 2025년 3월 24일부터 기존의 2차 가격 경매(Second Price Auction) 방식에서 1차 가격 경매(First Price Auction) 방식으로 전환한다. 이는 디스플레이 광고 시장의 변화에 따라 경매 구조를 간소화하고, 인벤토리 구매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라 설명한다. 원래는 내 광고의 입찰가가 500원 나보다 낮은 순위에 입찰가가 400원이었다면 내 광고가 클릭되었을 때 500원이 아닌 나보다 낮은 순위에 입찰한 광고주의 입찰가 400원으로 과금되는 방식으로 이해하면 쉬울 것 같다. 이게 [2차 가격 경매 Second Price Auction or 차선 가격 경매] 등으로 불린 경매구조이다. (물론 여기에 매체마다 추가되는 금액이 다르게 있다.) 검색광고(SA)를 가지고.. 2025.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