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gital Advertising

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란? - 마케팅 사례와 함께 알아보는 심리학 용어

by a_mine 2025. 4. 4.

단순노출효과는 무엇일까?

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는 반복적인 노출이 소비자에게 친숙함을 형성하고 호감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심리학 용어로, 마케팅 분야에서 다양한 사례들이 있을만큼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전략이다.

 

마케팅을 하다보면 '노출'이라는 데이터를 자주 확인하게된다. 노출은 캠페인의 광고가 보여진 횟수 혹은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횟수로

[노출 : Impression - imps] 이라고 표현한다. 이 때 말하는 노출(Impression)은 흔히 말하는 첫인상에서 '인상'을 의미한다.

하지만 단순노출효과에서 말하는 노출은 [노출 : Exposure]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에서 사용되는 '드러나있다'를 의미하고 있다.


먼저 유저에게 송출되어 인상을 남기는 노출이 아닌 항상 드러나 있는 상태로 보여지고 있는 노출을 마케팅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주로 TVC 및 옥외광고, 매장내 디스플레이가 드러나있는 노출의 형태로 운영되는 마케팅의 대표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ImpressionExposure] 이 두 개의 의미가 반드시 다른 건 아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광고의 리타겟팅을 통한 노출도(Impression) 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용어의 시작점이 다른 것뿐 확실한 구분이 필요한 것은 아닌 것.


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의 사례도 정리해보았다.

맥도날드 단순노출효과 사례 : 광고 슬로건 반복 노출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나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접하면서 친숙함을 느끼고, 자연스럽게 긍정적인 감정을 갖게 만드는 심리를 자극하기 위해 맥도날드는 "I'm Lovin' It"이라는 슬로건을 TV, 라디오, 온라인 광고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반복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신뢰와 호감을 강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일관된 메시지 반복은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각인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맥도날들 슬로건

https://www.youtube.com/watch?v=IiU2_DpLh-U

맥도날들의 모든 광고 아웃트로 영상 [i'm lovin it]

맥도날들의 모든 광고 아웃트로 영상 [i'm lovin it]을 보면 알 수 있다 [빠라 빠빠빠]라는 멜로디를 우리의 뇌가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관련된 멜로디만 들어도 친숙함에 먼저 브랜드가 떠오르게 된다.

 

코카콜라의 단순노출효과 마케팅 : 글로벌 이벤트 및 트렌드 반영사례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나 새해 콘텐츠자주 보게 되는 브랜드 중 하나가 코카콜라다. 코카콜라는 올림픽, 월드컵 등과 같은 대형 스포츠 대회에서 브랜드 로고를 꾸준히 노출하고, 새해가 되면 새로운 에디션을 출시하는 등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감정과의 연관성을 형성한다. 이러한 반복 노출은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강화하고,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브랜드를 떠올리게 한다.

코카콜라 단순노출효과 마케팅 사례 : 평창 올림픽
코카콜라 단순노출효과 마케팅 사례 : 카타르 월드컵
코카콜라 단순노출효과 마케팅 사례 : 미식파트너(에드워드 리) / 새해 에디션



디지털 매체 광고 전략 : 리타겟팅 광고를 통한 재노출 사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는 단순노출효과를 디지털 마케팅에 적극 활용한다. 디지털 매체의 리타겟팅 광고는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본 이력이 있을 경우, 해당 제품을 다양한 콘텐츠에 삽입해 반복적으로 노출시킨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제품에 대한 신뢰를 쌓고, 구매 의사 결정 가능성이 높아진다.

디지털 매체 광고 전략 : 리타겟팅 광고를 통한 재노출 - META



음악 스트리밍에서 나타나는 단순노출효과와 선호도 증가 사례

처음 들었을 때는 평범했던 음악도 자주 듣다 보면 좋아지는 경험은 단순노출효과의 대표적인 예다. 유튜브 뮤직, 멜론, 지니, 스포티파이 등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반복 재생되는 곡들은 청취자의 선호도를 점차 끌어올리며 차트 상위권에 오르는 경우가 많다. 이는 무의식적인 친숙함이 호감으로 전환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점점 유저들은 '알고리즘'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면서 취향이 찾아지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고 있다.

음악 스트리밍에서 나타나는 단순노출효과와 선호도 증가 - 유튜브 뮤직

 

 

그 외에도 정치 마케팅에서의 노출 전략으로 후보자 얼굴을 반복 노출하여 상기시키는 단순노출효과는 강력한 도구다. 후보자의 얼굴, 이름, 슬로건이 적힌 포스터나 현수막을 다양한 장소에 설치해 유권자에게 반복적으로 노출시킨다. 이러한 반복은 후보자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고, 지지율 상승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단순노출효과의 한계점은 명확하다. 단순노출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닌데 바로 과도한 반복으로 발생하는피로감과 첫인상이 부정적인 경우에는 반복 노출이 부정적인 인상을 더욱 강하게 인식시키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반복노출을 통해 호감도와 친밀감을 상승시키고 상기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선 광고에 대한 초기기획이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