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ate().getTime(),event:'gtm.js'});var f=d.getElementsByTagName(s)[0], j=d.createElement(s),dl=l!='dataLayer'?'&l='+l:'';j.async=true;j.src= 'https://www.googletagmanager.com/gtm.js?id='+i+dl;f.parentNode.insertBefore(j,f); })(window,document,'script','dataLayer','GTM-5ZMD4VM'); [GA4] 6. GA4 측정기준/측정항목
본문 바로가기
Tracking Tool/Google analytics4

[GA4] 6. GA4 측정기준/측정항목

by BAESY 2024. 5. 13.

이전 시간에는 GA4 계정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GA4 보고서를 읽기 전,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구글 애널리틱스 도움말에 명시되어있는 측정 기준을 알아볼까요?

 

 

측정기준(Dimension) : 측정기준은 데이터의 속성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숫자가 아닌 텍스트로 되어 있습니다. 측정기준의 예로는 사용자가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리거한 이벤트의 이름(예: '클릭')을 보여주는 이벤트 이름이 있습니다.

측정항목(Metrics) : 측정항목은 평균, 비율, 백분율과 같은 양적 측정 요소입니다. 항상 텍스트가 아닌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측정항목의 특징 중 하나는 수학 연산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측정항목의 예로는 이벤트가 트리거된 총횟수를 보여주는 이벤트 수가 있습니다.

 

즉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무엇'을 '얼만큼' 측정하는가에 대한 기준입니다.

 

영문으로 측정기준은 Dimension, 측정항목은 Mertics입니다. Dimension 측 차원, 관점이라는 뜻인데요. 측정기준이란 '무엇'을, 측정항목이란 '얼만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수로 표현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측정기준과 측정항목

 

위 사진을 바탕으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리 웹사이트에 유저가 방문을 하게 되었다.

2. 유저의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 측정기준

3. 각 유저의 요소를 어떻게 숫자로 나타낼 것인가? -> 측정항목

 

위 사진에서 측정 기준은, '신규 사용자 기본 채널 그룹' 입니다. 보고서 이용자는 웹 사이트에 새롭게 들어온 방문자가 어떤 채널을 통해서 들어왔는지를 확인하고 싶었던 것 같네요. 그리고 그렇게 분류된 사용자의 특성은 측정항목에서 숫자로 표현되어집니다.

새로운 사용자수는 4797명, 세션은 3694개, 참여율은 54.94% 등등..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보고서를 읽고, 인사이트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바탕으로 GA4보고서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GA4] 1. 트래킹 툴에 대한 이해와 GA4
[GA4] 2. GA4 사용 이유와 주요 변경점
[GA4] 3.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GA4] 4. GA4 가입과 헤드태깅을 통한 gtag 삽입

[GA4] 5. GA4 계정 구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