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시간에는 GA4 계정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GA4 보고서를 읽기 전,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구글 애널리틱스 도움말에 명시되어있는 측정 기준을 알아볼까요?
측정기준(Dimension) : 측정기준은 데이터의 속성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숫자가 아닌 텍스트로 되어 있습니다. 측정기준의 예로는 사용자가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트리거한 이벤트의 이름(예: '클릭')을 보여주는 이벤트 이름이 있습니다.
측정항목(Metrics) : 측정항목은 평균, 비율, 백분율과 같은 양적 측정 요소입니다. 항상 텍스트가 아닌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측정항목의 특징 중 하나는 수학 연산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측정항목의 예로는 이벤트가 트리거된 총횟수를 보여주는 이벤트 수가 있습니다.
즉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은
'무엇'을 '얼만큼' 측정하는가에 대한 기준입니다.
영문으로 측정기준은 Dimension, 측정항목은 Mertics입니다. Dimension 측 차원, 관점이라는 뜻인데요. 측정기준이란 '무엇'을, 측정항목이란 '얼만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수로 표현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위 사진을 바탕으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우리 웹사이트에 유저가 방문을 하게 되었다.
2. 유저의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 측정기준
3. 각 유저의 요소를 어떻게 숫자로 나타낼 것인가? -> 측정항목
위 사진에서 측정 기준은, '신규 사용자 기본 채널 그룹' 입니다. 보고서 이용자는 웹 사이트에 새롭게 들어온 방문자가 어떤 채널을 통해서 들어왔는지를 확인하고 싶었던 것 같네요. 그리고 그렇게 분류된 사용자의 특성은 측정항목에서 숫자로 표현되어집니다.
새로운 사용자수는 4797명, 세션은 3694개, 참여율은 54.94% 등등..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보고서를 읽고, 인사이트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바탕으로 GA4보고서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GA4] 1. 트래킹 툴에 대한 이해와 GA4
[GA4] 2. GA4 사용 이유와 주요 변경점
[GA4] 3.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GA4] 4. GA4 가입과 헤드태깅을 통한 gtag 삽입
'Tracking Tool > Google analytics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_구글애널리틱스4 [총 사용자 = 새 사용자 수 + 재사용자]가 아니다? 사용자 3분만에 이해하기 (0) | 2024.09.20 |
---|---|
2024 '넥슨 서든어택'으로 알아보는 GA4 활용사례_신규유저 획득 (0) | 2024.05.02 |
[GA4] 5. GA4 계정 구조 (0) | 2024.04.17 |
[GA4] 4. GA4 가입과 헤드태깅을 통한 gtag 삽입 (1) | 2024.03.31 |
[GA4] 3.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0) | 2024.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