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ate().getTime(),event:'gtm.js'});var f=d.getElementsByTagName(s)[0], j=d.createElement(s),dl=l!='dataLayer'?'&l='+l:'';j.async=true;j.src= 'https://www.googletagmanager.com/gtm.js?id='+i+dl;f.parentNode.insertBefore(j,f); })(window,document,'script','dataLayer','GTM-5ZMD4VM'); [GA4] 4. GA4 가입과 헤드태깅을 통한 gtag 삽입
본문 바로가기
Tracking Tool/Google analytics4

[GA4] 4. GA4 가입과 헤드태깅을 통한 gtag 삽입

by BAESY 2024. 3. 31.

이전 글에는 GA4의 데이터 수집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GA4 가입부터 헤드태깅을 통해 추적코드를 심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GA4 가입하기

가입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GA4의 계정 구조는 계정 - 속성의 하방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속성단에는 데이터 스트림도 추가되었습니다.
아래 단계대로 진행한다면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계정이름 작성 및 다음 버튼 클릭

 
계정 이름을 작성하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속성명, 보고시간대, 통화 종류 설정

 
속성, 보고시간대, 통화 종류를 설정합니다. 추적하고 싶은 사이트가 어디에서 운영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비즈니스 목표 선택
무조건 동의

 
비즈니스 목표를 설정합니다.
 
 

웹 선택

동의
 

사이트 URL 삽입 후 스트림 만들기

웹 선택 후 나오는 데이터스트림 설정에 웹사이트 URL(티스토리 블로그 URL)을 넣어줍니다.
그리고 스트림 만들기 클릭

이 창이 떴으면 완료입니다.

이렇게 뜨면 완료입니다.
여기서 발급된 id와 gtag를 티스토리 웹 내 삽입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gtag 헤드태깅하기

이번엔 티스토리 스킨 편집을 통해 gtag를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A4는 웹사이트 내 사용자가 방문한 시점부터 웹 내 오브젝트 이용  이탈하는 시점까지 모든 페이지를 추적하도록 작동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페이지 내에서 추적 코드가 실행되도록 설치해야합니다. 
 
HTML은 페이지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마크업 언어입니다. 문서, 웹이 화면에 표시되는 방식을 기술하고 있으며 구조적인 방식을 명료하게 표기하도록 합니다.
즉, 웹페이지가 어떻게 이루어져있는지 HTML 언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티스토리의 스킨은 HTML편집을 지원합니다.
 
HTML으로 작성된 웹사이트의 경우 모든 웹페이지가 공유하는 공통된 부분이 있는데요, 우리는 그 자리에 추적코드를 심을 것입니다.
 

태그안내보기 클릭

 
위 웹스트림 세부정보에서 태그안내보기를 클릭합니다. 스크롤 하단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태그를 복사합니다.

태그를 복사합니다.
 

티스토리 관리 -> 스킨편집 탭에서 HTML 편집을 클릭해줍니다.
 

헤드영역에 붙여넣기!

<head>영역 아래에 붙여넣고 적용을 눌러줍니다.
 
왜 head영역일까요?
사실 어느 곳에 넣어도 크게 문제될 건 없습니다만, 페이지의 로드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방향성을 가지고 이루어집니다. 즉 헤드 영역은 추적코드가 가장빨리 실행될 수 있는 영역인 것이죠. 추적 코드가 열리기도 전에 사용자가 이탈해버린다면? 열리기도 전에 사용자가 다른 요소를 클릭해버린다면? 추적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시간엔 계정과 속성, 데이터스트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GA4] 1. 트래킹 툴에 대한 이해와 GA4
[GA4] 2. GA4 사용 이유와 주요 변경점
[GA4] 3.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GA4] 4. GA4 가입과 헤드태깅을 통한 gtag 삽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