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구글 애널리틱스4)에서
대시보드나 리포트를 보게되면
아래와 같은 측정항목을 볼 수 있다.
'총 사용자' / '새 사용자 수' / '재사용자'
측정항목 | 설명 | 쉬운 설명 |
총 사용자 | 사이트 또는 앱과 상호작용한 총 사용자 수 | 설명과 같음 |
새 사용자 수 | 처음으로 사이트 또는 앱과 상호작용한 총 사용자 수 |
새 쿠키 데이터로 활동한 유저 |
재사용자 | 지정된 기간 동안 이전 세션이 참여세션이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전 세션을 하나 이상 시작한 순 사용자 |
이전에 방문하여 세션을 발생시킨 기록이 있고 이후 추가로 방문하여 세션을 발생시킨 유저 |
GA4에서 사용자 지표에 대해서
위 표 내용과 같이 설명이 가능한데
일반적으로는
'총 사용자'는 전체 사용자니까
"새로 들어온 '새 사용자 수'와 재방문한 '재사용자'를
합치면 수치가 맞겠군.."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를 보면 총 사용자의 수는 '7,819'
새 사용자 수 '7,587' + 재사용자 '580'을 더한
'= 8,167'으로 더 높은 값을 나타낸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데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가 1월에 처음 방문했다가
3월에 다시 방문한다고 가정해보자
- 1월: 이 사용자는 새 사용자로 기록
- 3월: 이 사용자는 재사용자로 기록
(이미 방문한 적이 있기 때문)
하지만 총 사용자는 고유 사용자의 수이므로,
한 명의 사용자가 여러 번 방문해도
중복해서 카운트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사용자는
새 사용자로도, 재사용자로도 분류되지만
총 사용자 수에는 한 번만 포함됩니다.
이런 이유로 총 사용자의 수가 더 적게 나오는 것
GA4_구글애널리틱스4
[총 사용자 = 새 사용자 수 + 재사용자]가 아니다?
사용자 3분만에 이해하기 끝
'Tracking Tool > Google analytics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6. GA4 측정기준/측정항목 (0) | 2024.05.13 |
---|---|
2024 '넥슨 서든어택'으로 알아보는 GA4 활용사례_신규유저 획득 (0) | 2024.05.02 |
[GA4] 5. GA4 계정 구조 (0) | 2024.04.17 |
[GA4] 4. GA4 가입과 헤드태깅을 통한 gtag 삽입 (1) | 2024.03.31 |
[GA4] 3.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 (0) | 2024.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