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점유율20

다음(Daum) 포털사이트 국내 3위?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에게 추월당했다 [데일리 마케팅_뉴스] 카카오의 포털 사이트 '다음'이 이달 들어 처음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 '빙'에 국내 검색 시장 3위 자리를 내줬다.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이달 15일까지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 1위는 네이버로 56.0%, 2위는 구글로 35.7%를 기록했다.👉 견고한 1, 2위(네이버 vs 구글) / 치열한 3, 4위(다음 vs 빙)네이버와 구글은 검색 시장에서 견고한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3, 4위 싸움은 치열해졌다. 다음의 점유율은 3.4%로 MS 빙의 3.6%에 밀려 3위 자리를 내줬다. 이는 2010년 1월 인터넷트렌드의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 집계가 시작된 이래 빙이 처음으로 다음을 앞지른 것이다.올 상반기 기준으로는 네이버가 57.9%, 구글이 33%, 다음이 4.2%, 빙이 2.7%의 .. 2024. 7. 19.
SNS 인 앱 구입 수익 1위는 인스타그램 아닌 '틱톡(TicTok)' [데일리 마케팅_뉴스] ✅ 틱톡과 유튜브가 주도한다. 글로벌 소셜 앱 시장, 19% 성장세 기록지난해 전 세계 소셜 앱 수익이 전년 대비 19% 증가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틱톡이 글로벌 수익 1위를 차지했고, 한국에서는 유튜브가 가장 많은 수익을 올렸다.✅ 45억 달러 돌파한 인앱 구매 수익 센서타워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소셜 앱의 인앱 구매 수익이 다운로드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24년 1분기 소셜 앱 인앱 구매 수익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45억 달러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2023년 2분기부터 2024년 1분기까지의 총 수익은 170억 달러에 달했다.✅ 틱톡, 인앱 구매 수익 20억 달러 돌파2024년 1월부터 5월까지 틱톡의 인앱 구매 수익은 전년 대비 26% 증가한 20억 달.. 2024. 7. 2.
[데일리 마케팅_뉴스]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네이버 검색결과에서 사라진다 네이버(NAVER)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연동을 검색 결과에서 종료9일 따르면 네이버는 이달 중으로 사용자가 공식 사이트를 검색할 때 제공하던 최신 콘텐츠 내의 SNS 콘텐츠 연동을 종료할 예정이다. 검색 결과는 공지사항과 보도자료 중심으로 개선된다. 네이버는 향후 공공기관 중심으로 사이트 내에서 직접 제공하는 최신 정보의 접근성을 확대할 계획이다. 숏폼(짧은 영상) 콘텐츠의 인기로 인해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사용 시간이 증가하고 네이버 사용 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플랫폼 간 이동을 막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 네이버의 사용자 감소 문제?국내 대표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는 최근 사용자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 2024. 6. 13.
[데일리 마케팅_뉴스] 중국발 C커머스 서비스 국내 인기 소폭감소? 국내 시장에서 중국발 전자상거래 서비스의 인기가 다소 수그러든 모양새다. 한국에 진출한 중국의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알리)의 모바일 앱 신규 설치와 사용자 수가 5월 한 달 간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앱 설치 감소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테무 앱의 신규 설치는 171만524건, 알리 앱의 신규 설치는 52만6천20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4월 대비 각각 25.0% 감소한 수치로,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특히, 테무 앱의 신규 설치는 4월의 228만344건에 비해 56만9820건이 줄었고, 알리는 17만4494건이 감소했다. 이들 앱의 월별 신규 설치는 2월 274만1798건에서 3월 408만5.. 2024.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