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운영자라면 누구나 궁금한 웹사이트 방문자들의 행동과 성과를 분석하는 데 가장 유용한 도구가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이죠.
사용자는 주로 PC나 Mobile로 웹사이트에 접속을 하게 될 텐데요.
PC 와 Mobile에서 생성된 트래픽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 인식이 되고
인식된 데이터가 저장되어서 최종적으로 보고가 되는지 그 전반에 작동 원리에 대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1. 획득 (Acquisition)
웹사이트 방문자가 어디에서 유입되었는지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코드를 통해서 알려주는 정보인데요.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google / cpc : Google Ads 광고 클릭을 통해 유입된 트래픽
(direct) / (none) : 북마크나 URL 직접 입력을 통해 유입된 트래픽
google / organic : Google 자연검색을 통해 유입된 트래픽
facebook / referral : example.com/referral → example.com 도메인으로 유입된 트래픽
<utm_source> / <utm_medium>
소스 → 검색 엔진 (예 : google ) 또는 도메인 (example.com) 도메인 등 트래픽이 유입된 위치
매체(미디어) → 자연 검색 ( 예 : organic ), 클릭당 비용 유료 광고 (cpc), 웹 추천(referral) 등과 같은 일반적인 소스의 카테고리
2. 추적 코드 (Tracking Tag)
웹 사이트 또는 앱에 설치하여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코드입니다.
G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 HTML에 태깅을 해주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head>와 <body>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 = 태그
•</> = 닫힌 태그
•<head> = 헤드태깅
•</head> = 닫힌 헤드태깅
•<body> = 바디태깅
•</body> = 닫힌 바디태깅>
3. 사용자 행동 데이터 (User Behavior)
웹사이트 방문자의 행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랜딩페이지 유입 → 페이지 이동 → 페이지 이탈 (pageview)
PDF 다운로드 (Event)
비디오 재생(Event)
특정 목표 달성(Conversion)
전자상거래 활동(Conversion)
4. 히트 (Hits) → 5. 데이터 프로세싱 (Data processing) → 6. GA보고서
GA에서는 유저의 상호작용 (Hit)으로 발생한 데이터(Event)를 수집(Tracking)하여 GA보고서에 저장됩니다.
•pageview hit
•Event hit
•Transaction hit
•Item hit
•Social hit
구글 애널리틱스는 글로벌 기준 70% 이상의 점유율을 보여주고있어 대다수 데이터 분석 도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점유율이 높은 이유에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다룰 수 있고 마케터나 기획자가 보기에도 쉬운 툴입니다.
또한, 다른 구글 플랫폼 Google Ads / Looker studio / Optimeze 에도 연동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Tracking Tool > Google analytics4'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애널리틱스4(GA4) '전환'이 사라진다? 내용 확인하기 (0) | 2024.03.25 |
---|---|
[GA4] 2. GA4 사용 이유와 주요 변경점 (1) | 2024.03.25 |
구글 애널리틱스4(GA4) 설치하기 전 알아두면 좋을 구글애널리틱스4 란? (0) | 2024.03.24 |
[GA4] 1. 트래킹 툴에 대한 이해와 GA4 (0) | 2024.03.10 |
구글 애널리틱스 개요 및 시작하기 (0) | 2020.08.07 |
댓글